우리 아파트, AAA 등급인지 확인하세요! - 홈네트워크건물인증에 홈IoT를 위한 AAA 등급 신설, 7월부터 시행
작성일 : 2017. 6. 30. 융합신산업과
우리 아파트, AAA 등급인지 확인하세요!
- 홈네트워크건물인증에 홈IoT를 위한 AAA 등급 신설, 7월부터 시행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홈IoT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기존 홈네트워크건물인증에 AAA(홈IoT) 등급을 신설하고, 7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ㅇ 홈네트워크건물인증은 조명, 난방, 출입통제 등의 서비스를 원격(월패드)으로 제어할 수 있는 건축물에 등급을 부여하는 것으로 2007년부터 시행해 왔다.
* ’16년까지 누적 94만세대가 준공시 홈네트워크건물 인증을 받았으며, ’16년의 경우 아파트 준공 32만 세대 중 약 40%인 12.7만 세대가 홈네트워크건물인증을 획득
ㅇ 이번에 신설되는 AAA(홈IoT) 기준은 기존 홈네트워크건물인증 등급(AA, A, 준A) 보다 상위 등급으로, AA 등급에 모바일앱, 기기확장성, 보안 등의 심사 항목을 추가하였다.
□ 홈IoT 기준 마련을 위해 작년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건설업계․홈네트워크업계를 비롯하여 산․학․연 전문가들과 TF를 구성하여 검토하였다. 주요 특징으로는
① 모바일앱을 이용하여 아파트 외부에서도 아파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기의 제어가 가능해 진다.
< AAA(홈IoT) 인증 마크 예시 >
*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 특등급과 홈네트워크건물인증 AAA(홈IoT) 등급에 부여하는 인증 마크
-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 사용이 보편화되고, 아파트 외부에서도 전기, 가스 등 사용여부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관련 사항을 추가하였다.
② 소비자가 일반 가전 매장에서 구입한 가전제품 중 IoT 기능이 있는 제품은 홈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하나의 모바일앱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홈IoT 인증이 최초 시행되는 점을 감안, 최소 5개 제조사의 제품과 연동할 수 있도록 기준 마련
- 현재는 소비자가 개별 구매하는 가전제품(예: 공기청정기, 전기밥솥, 에어콘 등)에 IoT 기능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홈네트워크와는 별도로 사용하여야 했으나 앞으로는 하나의 모바일앱에서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③ 정보통신 인프라에 대한 보안 강화 추세에 맞추어 모바일앱, 홈네트워크 기기, 아파트 단지내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을 점검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 아파트 단지내 설치되는 서버․방화벽 등은 아파트 현장점검을 통해, 월패드 및 월패드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기기․모바일앱은 사전점검을 실시하여 비인가 IP를 통한 원격 접속 가능 여부, 최신 소프트웨어 패치 여부, 관리자 권한 관리 적절성 여부 등을 점검한다.
- 보안과 관련한 사항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무료로 점검을 지원한다.
④ 최근 음성으로 가정내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음성인식 비서 기능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여, 아파트 건설시 설치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기기 선택항목에 음성인식제어기를 추가하였다.
□ 미래부 장석영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AAA 등급 신설을 계기로 홈IoT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홈 확산이 촉진되고, 아울러 IoT 기능을 탑재한 가전제품의 개발과 보급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하고,
ㅇ “앞으로 IoT가 각 가정을 포함한 전 산업 영역으로 확산되어 IoT 생태계가 조기에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번에 개정 시행되는 홈네트워크건물인증 기준 전문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운영하는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센터 홈페이지(www.bic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안에 관한 자세한 안내와 상담은 한국인터넷진흥원(www.kisa.or.kr)에서 제공한다.
【붙임】 홈네트워크건물인증 기준 개정 주요 내용
붙임
홈네트워크건물인증 기준 개정 주요 내용
? 홈네트워크건물인증*에 홈IoT 사항을 반영한 AAA(홈IoT) 등급 신설
* 원격에서 조명, 난방, 출입통제 등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기준 이상의 홈네트워크용 배관, 배선 등을 갖춘 건축물에 등급 부여
① (모바일앱) 외부에서도 아파트내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앱 추가
② (기기확장성) 소비자가 개별 구매하는 가전제품(전기밥솥, 공기청정기 등)을 홈네트워크 기기와 연동하여 하나의 앱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능 추가
* 5개 이상 제조사의 제품과 연동
③ (보안) 무선으로 연결되는 홈네트워크 기기(도어락 등), 모바일앱, 아파트 단지내 서버/방화벽의 최신 보안패치 적용 등 보안 점검 추가
*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보안사항 무료 점검
< 홈네트워크건물인증 등급 및 주요내용 >
등 급
AAA(홈IoT)
(신설)
AA
A
준A
주요내용
AA +
모바일앱,
기기확장성, 보안
준A +
홈네트워크 기기 9개 이상
준A + 홈네트워크 기기 6개 이상
통신배관실 +
가스, 조명, 난방제어기 등
? 음성으로 아파트내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음성인식제어기(예: SKT 누구, KT 기가지니 등)를 홈네트워크기기 선택항목으로 추가(총 19종→20종)
* 홈네트워크업계에서는 다수 건설사가 기본 항목으로 설치할 것으로 예상
'기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485, 종단저항 개념 (0) | 2018.07.30 |
---|---|
광통신 개요 (0) | 2018.07.26 |
[스크랩]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업무 처리지침_2016개정 (0) | 2018.01.02 |
[스크랩] 급배수제어회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0) | 2016.08.11 |
[스크랩] 이런 회로가 급배수설비 플로우트 스위치를 이용한 도면입니다. (0) | 2016.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