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을 단계적인 높이의 순으로 배열한 것을 음계라 한다. 음계에는 음 배열의 질서, 즉 음과 음간의 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온음계적 음계(diatonic scale)이며 이것은 크게 장음계(major scale)와 단음계(minor scale)로 구분된다.



모두 온음관계인 7음 음계.
다장조 자연장음계

다장조 화성장음계

제7음이 반음 내려간 7음 음계.



모두 온음관계인 7음 음계.
가단조 자연단음계

가단조 화성단음계

라간 형태이며 하행할 때에는 자연단음계과 같은 음정관계를
갖는 7음 음계.
※ 여기서 잠깐 !! ※
![]() 옥타브에는 모두 12개의 반음이 있는데 이것을 피아노 건반에서 설명하자면 반음은 건반과 건반 사이를 반음이라 말할 수 있다. 반음은 건반에서 음이름 '마'와 '바', '나'와 '다'와 같이 임시표가 사용되지 않은 반음관계인 온음계적 반음(다장조에서 미∼파, 시∼도)과 임시표가 사용되어 만들어진 반음계적 반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온음계적 반음> : 건반의 나-다 사이의 반음, 마-바 사이의 반음.
<반음계적 반음> : 건반에서 흰건반과 검은건반의 사이. < 온 음 > : 반음 두 개의 거리. 온음이란 반음+반음,즉반음 2개가합쳐진것을 온음이라 이해해도 된다. |
출처 : 안세모의 기타정원
글쓴이 : akdhkd(마왕) 원글보기
메모 :
'통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음정이란. (0) | 2007.12.10 |
---|---|
[스크랩] 음악기호 (0) | 2007.12.10 |
[스크랩] 음성, 화성학, 대위법 등의 개략적인 설명 (0) | 2007.12.10 |
[스크랩] 장조와 단조에 대해서 재미나게 이야기하자.. (0) | 2007.12.10 |
[스크랩] 코드 이론... (0) | 2007.12.10 |